적금보다 높은 금리, CMA 통장 제대로 이해하기
최근 은행 적금 금리가 3%대로 떨어지면서, 대신 CMA 통장을 찾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었습니다.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쉽게 말해 이자가 매일 붙는 통장형 투자상품입니다.
저 역시 1년 전부터 생활비 일부를 CMA에 넣어두는데, 단기 자금 운용용으로는 이만한 상품이 없습니다.
1. CMA 통장이란?
CMA는 증권사가 운영하는 종합자산관리계좌로,
입금된 돈을 자동으로 단기 금융상품(예: RP, MMF) 등에 투자해 이자를 발생시키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은행 예금처럼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도
투자상품에 가까운 유동성 높은 단기 운용계좌입니다.
2. CMA 통장의 종류
| 종류 | 운용 방식 | 특징 |
|---|---|---|
| RP형 | 환매조건부채권에 투자 | 안정성 높고 원금 손실 거의 없음 |
| MMF형 | 단기채권·CD 등에 분산투자 | 금리 연동형, 수익률 변동 가능 |
| 발행어음형 | 증권사 자체 발행어음 운용 |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 (연 4~5%) |
| 종합형 | RP+MMF 복합 운용 | 자동 분산 투자로 균형형 |
현재 가장 인기 있는 것은 발행어음형 CMA이며,
NH투자증권·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 등 주요 증권사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3. CMA와 예금의 차이
| 구분 | CMA | 예금 |
|---|---|---|
| 운용 주체 | 증권사 | 은행 |
| 이자 지급 방식 | 매일 이자 발생 | 매월 또는 만기일 지급 |
| 예금자보호 | 해당 없음 (투자상품) | 5천만원까지 보호 |
| 수익률 | 변동형 (평균 연 3.5~5%) | 고정형 (평균 연 3~3.8%) |
| 출금 가능 여부 | 자유로움 | 일부 제한 존재 |
즉, 안정성은 예금이, 유동성과 금리는 CMA가 우위입니다.
4. CMA 통장 활용 전략
① 생활비 파킹용 계좌로 활용
매일 이자가 붙기 때문에, 급여 입금 후 며칠만 놔둬도 이익입니다.
② 단기 자금 보관소로 사용
예금처럼 묶이지 않아, 여행비·사업자금·비상금 관리에 적합합니다.
③ 투자계좌와 연동
CMA 통장은 증권계좌와 연결되어 있어, 주식이나 펀드로 바로 이동 가능합니다.
④ 금리 확인은 필수
증권사마다 금리 차이가 크므로, 앱에서 ‘오늘의 CMA 수익률’을 확인하세요.
5. 주의사항
-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으므로, 발행기관 신용도가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
일부 CMA는 자동투자 설정이 꺼져 있어, 초기 설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세전 수익률이므로 실제 이자는 15.4% 이자소득세가 공제됩니다.
6. 정리하며
CMA 통장은 예금보다 유연하고, 투자보다 안정적인 중간형 금융상품입니다.
단기자금을 효율적으로 굴리고 싶은 사람이라면 필수로 알아야 할 계좌입니다.
매일 이자가 쌓이는 통장으로, 현금이 놀지 않게 만들어보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