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정전 시 대처법 — 전기 끊겨도 안전하게 준비하기
겨울철엔 눈·비·낙뢰·한파로 인해 정전이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난방과 조명이 모두 전기에 의존하는 가정에서는 정전이 곧 생활 불편으로 이어집니다.
예기치 못한 정전에 대비해 미리 준비해두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1. 정전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할 것
✔ 우리 집만 끊겼는지, 주변도 함께 끊겼는지 확인
→ 주변 가로등·이웃집 불빛을 먼저 봅니다.
→ 우리 집만 정전이면 두꺼비집(전기차단기) 점검이 우선입니다.
✔ 두꺼비집 스위치가 내려가 있다면?
→ 전열기 과부하나 누전일 수 있습니다.
→ 모든 스위치를 내린 뒤, 하나씩 올려 원인을 확인합니다.
2. 전기가 끊겼을 때 즉시 해야 할 일
✔ 보일러 전원 차단
정전 후 갑자기 전기가 들어오면 역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냉장고 문은 절대 열지 않기
닫아두면 최대 3~4시간은 내부 온도가 유지됩니다.
✔ 가스밸브 잠그기
정전 복구 시 스파크로 인한 화재를 예방합니다.
✔ 양초보다 LED 랜턴 사용
양초는 화재 위험이 높고, 산소를 소모합니다.
충전식 랜턴이나 배터리형 손전등을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정전 시 유용한 물건 미리 준비하기
✔ 보조배터리 (10,000mAh 이상) — 휴대폰 충전용
✔ 충전식 랜턴 or 손전등
✔ 휴대용 라디오 — 재난 정보 수신
✔ 온수주머니, 담요 — 난방 중단 대비
✔ 캠핑용 가스버너 — 음식·물 데우기용
이 물품들은 정전뿐 아니라 자연재해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장시간 정전 시 음식 보관 요령
✔ 냉장고 문은 최소 개폐
✔ 냉장식품은 얼음팩과 함께 보냉백에 옮기기
✔ 냉동식품은 뭉쳐두면 해동이 늦어짐
✔ 정전 후 2시간 이상 지난 음식은 냄새·색 변화 확인 후 섭취
5. 정전 예방과 관리법
✔ 콘센트 여러 개 연결금지 (멀티탭 과열 주의)
✔ 오래된 전열기·히터는 코드 이상 여부 확인
✔ 눈·비 오는 날 외출 전, 전기난로 전원 차단
특히 겨울철엔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전열기를 켜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정리하며
정전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준비한 사람은 당황하지 않습니다.
보조배터리와 랜턴, 따뜻한 담요 몇 개만 준비해도
갑작스러운 정전 속에서도 안전하고 따뜻한 하루를 보낼 수 있습니다.
“미리 준비한 5분이, 정전 5시간을 바꾼다”는 말처럼
오늘 바로 비상용품을 점검해보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