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과 지급 일정 총정리
근로장려금은 일을 하지만 소득이 적은 가구에
정부가 현금으로 지원하는 대표적인 저소득층 근로 인센티브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물가 상승과 근로 환경 변화를 반영해
지급액과 소득 기준이 일부 조정될 예정입니다.
지금부터 달라지는 부분과 신청 시 유의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EITC, Earned Income Tax Credit)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이 있는 근로자 중
일정 기준 이하의 가구에 정부가 지급하는 장려금입니다.
✔ 지급 목적: 근로 의욕을 높이고 소득 불평등 완화
✔ 지급 형태: 현금 (계좌 입금)
✔ 관리 기관: 국세청
2.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최대 지급액 상향 예정
단독가구: 165만원 → 180만원
홑벌이가구: 285만원 → 300만원
맞벌이가구: 330만원 → 350만원
✔ 소득 기준 조정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3~5% 상향 예정
✔ 심사 기간 단축
간소화된 소득조회 시스템으로 지급 일정이 최대 2주 단축
3. 신청 자격 요약
| 구분 | 조건 |
|---|---|
| 연령 | 만 19세 이상 |
| 소득 | 단독가구: 2,400만원 미만 / 홑벌이: 3,600만원 미만 / 맞벌이: 4,200만원 미만 |
| 재산 기준 | 2억원 미만 (부동산, 예금 포함) |
| 거주 조건 | 대한민국 거주자,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 기준 |
※ 단, 고소득 자녀 부양가구는 일부 제외될 수 있습니다.
4. 신청 시기
✔ 정기 신청: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반기 신청: 2025년 3월(상반기분), 9월(하반기분)
✔ 지급 시기: 신청 후 약 3개월 이내
예를 들어 5월에 신청했다면,
보통 8월 말~9월 초에 지급이 완료됩니다.
5. 신청 방법
1️⃣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접속
2️⃣ 로그인 → 근로장려금 신청 메뉴 선택
3️⃣ 본인 정보 확인 및 소득 조회
4️⃣ 계좌 정보 입력 후 신청 완료
모바일로도 손택스 앱을 통해 간단히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령층을 위해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도 대리 신청이 가능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소득이 없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 근로소득이 1원이라도 있으면 가능하나, 무직자는 불가합니다.
Q2. 가족 중 한 명만 신청 가능한가요?
→ 네. 가구 단위로 신청하며, 세대주 또는 소득이 있는 구성원이 대표로 신청합니다.
Q3. 지급일은 정확히 언제인가요?
→ 정기 신청자는 8월 말~9월 초, 반기 신청자는 약 2개월 후 지급됩니다.
7. 근로장려금 vs 자녀장려금 차이
| 구분 | 근로장려금 | 자녀장려금 |
|---|---|---|
| 대상 | 근로·사업소득자 | 18세 미만 자녀 양육가구 |
| 지급 시기 | 5월 정기신청, 8~9월 지급 | 동일 |
| 중복 가능 여부 | O (동시 지급 가능) | O |
8. 정리하며
근로장려금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일하는 사람에게 실질적인 보상을 주는 제도’입니다.
소득이 적어 세금 혜택을 체감하기 어려운 근로자에게
현금으로 직접 지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감도가 높습니다.
2025년에는 지원 범위가 넓어지니,
자격이 된다면 꼭 신청해보세요.

0 댓글